본문 바로가기

주유 경고등 점등 후 주행 가능 거리는?

낭만꽉스 2025. 1. 31.

아침에 와이프가 기름이 E (Empty) 에 가깝게 있는데 왜 주유를 안해놨냐고 따지더군요. 와이프가 운전하는 디젤 차의 경우에는 기름이 부족하면 아예 서버리기 때문에 그런데요. 그래서 주유경고등이 켜지고 6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고 알려주긴 했는데, 혹시나 주유경고등이 켜지면 바로 주유소에 가야 하는지 아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정리를 해봅니다. 

 

주유 경고등이 켜지는 시점과 남은 연료량

주유 경고등은 차량의 연료 탱크에 남은 연료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점등되는데요. 기본적으로 고속도로의 휴게소간 거리를 기반으로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휴게소 간 거리가 평균 30~50km 정도기 때문에 휴게소를 지나치고 나서 다음 휴게소까지 갈 수 있는 기름이 남아 있을 때 주유경고등이 켜지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 60km 정도를 남겨놓고 주유경고등이 점등되는데요. 요즘 차들은 주행가능 거리가 1km/L까지도 표시를 해주다 보니 운행중인 니로 하이브리드의 경우에는 70km 정도 남은 상황에서 주유 경고등이 들어오더군요. 

 

차마다 연비가 다르기 때문에 각 차별로 60km 이상 주행 가능한 기름이 남았을 때 주유 경고등이 들어온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연비가 좋은 경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5리터 정도면 충분하고, 연비가 6km/L 밖에 안되는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10리터 이상 남아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유 경고등이 켜지면 바로 주유

주유 경고등이 켜진 상태로 주행하는 것은 심리적으로 불안함이 클 수 있는데요. 디젤 차량이 기름이 부족해서 길에서 서버리는 경험을 해본 사람이라면 더욱 불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기름이 없어서 완전히 서게 되면 연료 펌프 등 여러가지 부품을 교환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주유 경고등이 켜지면 가까운 주유소를 방문해서 바로 주유를 하는게 좋고, 혹시나 기름이 부족하여 차가 서게 되는 상황이 되면 차량이 완전히 멈추기 전에 갓길이나 안전한 장소로 이동을 하고 비상등을 점등한 뒤 보험사 긴급 출동에 연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은 보험회사에서 주유 서비스를 해주기 때문에 차량이 섰을 경우에는 보험사에 연락해서 주유 서비스를 받고 가까운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으면 됩니다. 혹시 고속도로에서 차가 정차한 경우라면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로 연락하여 가장 가까운 휴게소까지 무료로 견인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유 경고등이 켜지고 나서 50~60km 정도는 주행이 가능하니 당황하지 마시고 가까운 주유소를 네비게이션으로 검색하여 주유하시면 되는데요. 다만 차가 완전히 설 때까지 운전하는 것은 위험하니 주의해서 안전운전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주유경고등 점등 후 주행가능 거리였습니다. 

 

 

 

 

 

엔진 오일 교체 시기와 엔진 오일 경고등 대처 방법

자동차를 운행하다보면 정기 점검을 놓쳐서 큰 수리비가 나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중에서도 정기적으로 엔진 오일 교체 하는 것은 자동차 관리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kkwaks.net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비를 올리는 운전 습관

22년형 니로 하이브리드를 신차로 운행한지 벌써 20일 되었고 주행거리로는 900km 가 넘었네요. 첨엔 하이브리드가 잘 나가지도 않을거라는 편견에 그리 좋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전기모터의 토크

kkwaks.net

 

 

기아 니로 하이브리드 패들쉬프트 사용 방법

22년식 기아 니로 하이브리드에는 패들 쉬프트가 장착되어 있는데요. 드라이브 모드에 따라 일반 가솔린 차량의 패들쉬프트와는 좀 다르게 사용이 됩니다. 니로 하이브리드에서 패들쉬프트가

kkwaks.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