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페널티 계산 방법1 골프 라운딩 OB 타수 계산 방법 골프 라운딩 가면 티잉그라운드에서 호쾌하게 날리는 드라이버 샷을 기대하지만 열려 맞아서 슬라이스가 나거나 너무 감아서 훅이나서 OB가 나서 죽으면 참 속상한데요. 초보 골린이 때 티샷에서 OB가 났을 때 1 벌타 인지 2 벌타 인지 헷갈려 했던 경험이 있어서 정리해 봅니다. OB는 Out of Bound 의 줄임말로 홀 경계선 말뚝을 넘어가는 경우에 선언되는데요. OB가 나면 1 벌타가 맞습니다. 다만 OB가 나면 원래는 티샷 했던 곳으로 다시 돌아와서 다시 쳐야 하는데, 보통 국내 골프장의 경우 진행을 빠르게 하기 위해 OB티에서 세컨샷을 하게 되기 때문에 OB 1 벌타 + OB티 1타 (티샷 다시 친걸로 계산) 하여 2타를 추가하는데요. 그래서 OB를 하고 세컨샷을 칠 때는 이미 3타를 친셈이 되는 .. 골프정보 2024. 5. 19.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