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 음과 뜻 풀이
예전에는 일상생활에서 사자성어를 많이 쓰다보니 그 뜻을 잘 알고 있었는데, 요즘에 아이들이 한번씩 물어보는 사자성어의 한자의 뜻과 해석이 바로바로 생각나지 않아서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너무 어려운 사자성어는 제외했고 요즘에도 많이 사용하는 사자성어 중심으로 한자의 음과 뜻, 그리고 뜻풀이를 가나다 순으로 정리했으니 필요하실 때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ㄱ
- 각골난망 (刻骨難忘) – (새길 각, 뼈 골, 어려울 난, 잊을 망)→ 뼛속에 새겨서 잊을 수 없을 만큼 깊이 감사함.
- 각자도생 (各自圖生) – (각각 각, 자기 자, 그림 도, 살 생)→ 각자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알아서 행동함.
- 감언이설 (甘言利說) – (달 감, 말씀 언, 이로울 이, 말씀 설)→ 달콤한 말과 이익을 내세워 남을 속이려는 말.
- 개과천선 (改過遷善) – (고칠 개, 허물 과, 옮길 천, 착할 선)→ 잘못을 고치고 올바른 길로 나아감.
- 거두절미 (去頭截尾) – (갈 거, 머리 두, 끊을 절, 꼬리 미)→ 앞뒤 설명 없이 핵심만 간단히 말함.
- 경거망동 (輕擧妄動) – (가벼울 경, 들 거, 망령될 망, 움직일 동)→ 가벼운 행동으로 신중하지 못함.
- 격세지감 (隔世之感) – (사이 뜰 격, 세상 세, 갈 지, 느낄 감)→ 세상이 너무 변해서 마치 다른 시대처럼 느껴짐.
- 결자해지 (結者解之) – (맺을 결, 놈 자, 풀 해, 갈 지)→ 문제를 만든 사람이 직접 해결해야 함.
- 고장난명 (孤掌難鳴) – (외로울 고, 손바닥 장, 어려울 난, 울 명)→ 혼자서는 큰일을 이루기 어려움.
- 고진감래 (苦盡甘來) – (쓸 고, 다할 진, 달 감, 올 래)→ 고생 끝에 좋은 일이 찾아옴.
- 과유불급 (過猶不及) – (지날 과, 오히려 유, 아닐 불, 미칠 급)→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과 마찬가지로 좋지 않음.
- 구사일생 (九死一生) – (아홉 구, 죽을 사, 한 일, 살 생)→ 아홉 번 죽을 고비를 넘기고 겨우 살아남음.
- 구우일모 (九牛一毛) – (아홉 구, 소 우, 한 일, 털 모)→ 매우 많은 것 중에서 극히 적은 부분.
- 군계일학 (群鷄一鶴) – (무리 군, 닭 계, 한 일, 학 학)→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 뛰어난 존재.
- 금상첨화 (錦上添花) – (비단 금, 위 상, 더할 첨, 꽃 화)→ 좋은 일 위에 더 좋은 일이 겹쳐짐.
- 금의환향 (錦衣還鄕) – (비단 금, 옷 의, 돌아올 환, 고향 향)→ 성공해서 고향으로 돌아감.
- 기고만장 (氣高萬丈) – (기운 기, 높을 고, 일만 만, 어른 장)→ 우쭐해져서 기세가 하늘을 찌름.
ㄴ
- 난공불락 (難攻不落) – (어려울 난, 칠 공, 아닐 불, 떨어질 락)→ 공격하기 어려워 함락되지 않는 요새.
- 내우외환 (內憂外患) – (안 내, 근심 우, 바깥 외, 근심 환)→ 안팎으로 근심과 어려움이 많음.
- 노심초사 (勞心焦思) – (수고할 노, 마음 심, 탈 초, 생각 사)→ 마음을 태우며 애를 씀.
ㄷ
- 다다익선 (多多益善) – (많을 다, 많을 다, 더할 익, 착할 선)→ 많을수록 더 좋음.
- 대기만성 (大器晩成) – (큰 대, 그릇 기, 늦을 만, 이룰 성)→ 큰 인물은 늦게 이루어짐.
- 대동소이 (大同小異) – (클 대, 같을 동, 작을 소, 다를 이)→ 크게 보면 같고, 작은 차이만 있음.
- 동고동락 (同苦同樂) – (같을 동, 쓸 고, 같을 동, 즐길 락)→ 함께 고생하고 함께 기쁨을 나눔.
- 동문서답 (東問西答) – (동녘 동, 물을 문, 서녘 서, 대답 답)→ 묻는 말과 전혀 다른 엉뚱한 대답.
- 동분서주 (東奔西走) – (동녘 동, 달릴 분, 서녘 서, 달릴 주)→ 여기저기 바쁘게 뛰어다님.
- 동병상련 (同病相憐) – (같을 동, 병 병, 서로 상, 불쌍히 여길 련)→ 같은 처지의 사람끼리 서로를 이해하고 동정함.
- 동상이몽 (同床異夢) – (같을 동, 평상 상, 다를 이, 꿈 몽)→ 같은 상황에서도 서로 다른 생각을 함.
- 두문불출 (杜門不出) – (막을 두, 문 문, 아닐 불, 날 출)→ 집에만 틀어박혀 나가지 않음.
ㅁ
- 마이동풍 (馬耳東風) – (말 마, 귀 이, 동녘 동, 바람 풍)→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음.
- 막상막하 (莫上莫下) – (없을 막, 위 상, 없을 막, 아래 하)→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함.
- 명약관화 (明若觀火) – (밝을 명, 같을 약, 볼 관, 불 화)→ 불을 보듯이 분명하고 뻔한 사실.
- 문전성시 (門前成市) – (문 문, 앞 전, 이룰 성, 시장 시)→ 방문객이 많아 집 앞이 시장처럼 붐빔.
ㅂ
- 박장대소 (拍掌大笑) – (칠 박, 손바닥 장, 클 대, 웃을 소)→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 반신반의 (半信半疑) – (반 반, 믿을 신, 반 반, 의심할 의)→ 믿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의심함.
- 배은망덕 (背恩忘德) – (등 배, 은혜 은, 잊을 망, 덕 덕)→ 은혜를 저버리고 배신하는 태도.
- 백발백중 (百發百中) – (일백 백, 쏠 발, 일백 백, 맞을 중)→ 무슨 일이든 성공함.
- 백전백승 (百戰百勝) – (일백 백, 싸울 전, 일백 백, 이길 승)→ 싸울 때마다 이김.
- 부화뇌동 (附和雷同) – (붙을 부, 화할 화, 우레 뇌, 같을 동)→ 자기 생각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감.
- 분골쇄신 (粉骨碎身) – (가루 분, 뼈 골, 부술 쇄, 몸 신)→ 있는 힘을 다해 최선을 다함.
- 불철주야 (不撤晝夜) – (아닐 불, 거둘 철, 낮 주, 밤 야)→ 밤낮없이 계속 힘씀.
- 비몽사몽 (非夢似夢) – (아닐 비, 꿈 몽, 닮을 사, 꿈 몽)→ 꿈인지 현실인지 모를 흐릿한 상태.
- 비일비재 (非一非再) – (아닐 비, 한 일, 아닐 비, 두 재)→ 같은 일이 한두 번이 아니라 자주 일어남.
ㅅ
- 사면초가 (四面楚歌) – (넉 사, 낯 면, 초나라 초, 노래 가)→ 사방이 적에게 둘러싸여 고립된 상황.
- 사필귀정 (事必歸正) – (일 사, 반드시 필, 돌아갈 귀, 바를 정)→ 모든 일은 결국 옳은 방향으로 돌아감.
- 산전수전 (山戰水戰) – (뫼 산, 싸울 전, 물 수, 싸울 전)→ 온갖 고난과 역경을 겪어봄.
- 새옹지마 (塞翁之馬) – (변방 새, 늙은이 옹, 갈 지, 말 마)→ 인생은 변화가 많아 예측할 수 없음.
- 설왕설래 (說往說來) – (말씀 설, 갈 왕, 말씀 설, 올 래)→ 말이 오가며 논쟁이 길어짐.
- 설상가상 (雪上加霜) – (눈 설, 위 상, 더할 가, 서리 상)→ 어려운 일이 연달아 겹쳐 닥침.
- 소탐대실 (小貪大失) – (작을 소, 탐할 탐, 클 대, 잃을 실)→ 작은 이익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 속수무책 (束手無策) – (묶을 속, 손 수, 없을 무, 꾀 책)→ 손을 묶인 듯 아무 방법이 없음.
- 수수방관 (袖手傍觀) – (소매 수, 손 수, 곁 방, 볼 관)→ 손을 놓고 옆에서 보기만 하는 태도.
- 승승장구 (乘勝長驅) – (탈 승, 이길 승, 길 장, 몰 구)→ 승리를 거듭하며 계속 나아감.
ㅇ
- 아전인수 (我田引水) – (나 아, 밭 전, 끌 인, 물 수)→ 자기에게만 유리하게 해석하는 태도.
- 안하무인 (眼下無人) – (눈 안, 아래 하, 없을 무, 사람 인)→ 교만하고 남을 무시하는 태도.
- 역지사지 (易地思之) – (바꿀 역, 땅 지, 생각 사, 갈 지)→ 처지를 바꿔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태도.
- 우왕좌왕 (右往左往) – (오른쪽 우, 갈 왕, 왼쪽 좌, 갈 왕)→ 방향을 잡지 못하고 갈팡질팡함.
ㅈ
- 자승자박 (自繩自縛) – (스스로 자, 줄 승, 스스로 자, 묶을 박)→ 자신의 말이나 행동 때문에 스스로 곤란에 빠짐.
- 적반하장 (賊反荷杖) – (도둑 적, 돌이킬 반, 멜 하, 지팡이 장)→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큰소리침.
- 전광석화 (電光石火) – (번개 전, 빛 광, 돌 석, 불 화)→ 매우 빠른 속도를 비유함.
- 전전긍긍 (戰戰兢兢) – (싸울 전, 싸울 전, 조심할 긍, 조심할 긍)→ 몹시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모습.
- 좌지우지 (左之右之) – (왼쪽 좌, 갈 지, 오른쪽 우, 갈 지)→ 남을 자기 뜻대로 마음대로 다룸.
ㅊ
- 천재일우 (千載一遇) – (일천 천, 실을 재, 한 일, 만날 우)→ 천 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좋은 기회.
- 청출어람 (靑出於藍) – (푸를 청, 날 출, 어조사 어, 쪽 람)→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남.
- 초지일관 (初志一貫) – (처음 초, 뜻 지, 한 일, 꿸 관)→ 처음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ㅎ
- 학수고대 (鶴首苦待) – (학 학, 머리 수, 쓸 고, 기다릴 대)→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 허심탄회 (虛心坦懷) – (빌 허, 마음 심, 평탄할 탄, 품을 회)→ 숨김없이 솔직하게 이야기함.
- 호연지기 (浩然之氣) – (넓을 호, 그러할 연, 갈 지, 기운 기)→ 거침없고 올바른 기개.
- 화룡점정 (畫龍點睛) – (그림 화, 용 룡, 점 점, 눈동자 정)→ 가장 중요한 마무리를 하여 완성함.
- 환골탈태 (換骨奪胎) – (바꿀 환, 뼈 골, 빼앗을 탈, 태아 태)→ 완전히 새롭게 변함.
이상 가나다 순으로 정리한 일상생활에서 자주쓰는 사자성어와 한자의 음과 뜻, 그리고 뜻풀이였습니다.
수면 장애 불면증에 도움을 주는 멜라토닌 영양제 추천
요즘 자다가 중간에 잠이 깨면 한참을 잠을 못들기도 하고 어떤 날은 좀 늦게 자려고 하면 바로 잠이 안들고 멀뚱멀뚱 한 두시간 보내는 적도 있는데요. 주변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런 수면
kkwaks.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