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 오일 교체 시기와 엔진 오일 경고등 대처 방법
자동차를 운행하다보면 정기 점검을 놓쳐서 큰 수리비가 나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중에서도 정기적으로 엔진 오일 교체 하는 것은 자동차 관리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오늘은 엔진 오일 교체 시기와 함께 혹시 엔진 오일 경고등이 들어왔을때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엔진 오일이 중요한 이유
엔진 오일은 자동차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엔진 내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엔진 블럭과 실린더가 폭발 행정에 의해 왔다갔다를 반복하게 되면 엔진 내부는 상당히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엔진 오일은 엔진 내부의 윤활 역할과 더불어 냉각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엔진 오일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엔진 내부에 마모나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심할 경우 엔진이 고장 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엔진오일은 금속 부품에서 발생하는 금속 찌꺼기를 씻어내고,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엔진 오일을 제때 교체해주지 않으면 차가 굼뜨게 느껴진다거나 연비가 낮아지는 등 점차 운전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교체해주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적정 엔진 오일 교체 시기
엔진 오일 교체 주기는 자동차 제조사마다 권장 주기가 조금씩 다를 수 있고, 합성유를 쓰는지 광유를 쓰는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은데요.
보통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광유 사용시에는 5천~7천km 사이에 교체하고, 합성유를 사용할 때는 조금 더 긴 주기인 8천~1만km 사이에서 교환을 합니다. 요즘 많이 타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일반 내연기관에 비해 2배 정도 주기가 길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보통 1만km~1만5천km 정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다만 매일 자동차를 운행하면 거리 기준으로 엔진오일을 교체하면 되지만 자동차 주행을 자주 하지 않는 경우에는 5천 km 를 타는데 1년이 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5천 km를 타지 않더라도 엔진 오일은 최소한 1년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도심에서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운행을 주로 하는 경우나 급가속, 급정거, 장거리 고속 주행이 많은 경우에는 엔진에 가해지는 부담이 일반적인 주행에 비해 크기 때문에 엔진오일의 수명이 빠르게 단축되어 오일 교체 주기를 좀 더 자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 오일 경고등이 들어왔을때 대처 방법
자동차 주행 중 엔진 오일 경고등이 들어온다면 무시하고 계속 주행하는 것은 위험한데요. 엔진 오일 경고등은 기름통 모양에 물방울 한두 방울이 떨어지는 아이콘 형태이거나 ‘OIL’이라는 글자로 표시됩니다.
엔진 오일 경고등이 들어오는 이유는 차량 엔진 내부 오일 압력이 정상 범위보다 낮아지면 경고등이 들어오는데요. 이는 엔진 내부에 오일 양이 부족하거나 오일 펌프에 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엔진 오일이 부족하거나 오염된 상태에서 계속 주행하게 되면 엔진 과열, 부품 마모, 최악의 경우 엔진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고 엔진 손상시에는 큰 수리비가 들거나 폐차를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엔진 오일 경고등이 깜빡이거나 계속 켜져있다면 바로 정비소에 방문해서 가장 먼저 오일의 양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엔진 오일 점검 방법
정비소에 방문하면 엔진 오일 게이지를 통해서 엔진 오일의 양과 오일 색깔을 보고 오염도를 판단하게 되는데요. 엔진 오일 교체 시기가 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선 직접 오일 양과 색상을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최신 모델들은 전자 센서들이 예민하게 잡아주지만, 내 손으로 점검해보면 차량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엔진 오일 점검 순서는 우선 차를 기울어져있지 않은 평평한 곳에 주차를 합니다. 또한 엔진 시동을 켜고 난 다음에는 오일에 엔진에 퍼져 있기 때문에 오일량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시동을 끄고 5~10분 정도 기다려야 합니다.
엔진 본넷을 열면 엔진 옆에 노란색 손잡이가 있는데 이것이 디핑 스틱으로 오일량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디핑 스틱을 빼서 오일 게이지 끝에 F (Full) 과 L (Low) 사이에 오일이 어디까지 묻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F 에 가깝게 있으면 정상입니다. 흰 장갑에 오일을 묻혀서 오일의 오염도 상태를 확인하면 좋은데요. 색이 너무 까맣거나 점도가 너무 묽으면 교체 시기가 다 되었다는 표시입니다.
연식이 오래된 차의 경우에는 엔진 오일 누유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엔진 오일 체크를 평소에 자주 해주면, 갑작스럽게 오일 부족 현상이 생기는 걸 예방할 수 있고 교체 시기도 좀 더 정확히 가늠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엔진 오일 교체 시기와 엔진 오일 경고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는데요. 제 때 엔진 오일을 교체하는 것은 자동차를 문제없이 안전하게 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관리입니다. 엔진 오일 비용이 적지는 않지만 비용을 아끼려다 더 큰 비용을 지불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제때 오일 교체해서 쾌적하고 안전한 드라이빙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주유 경고등 점등 후 주행 가능 거리는?
아침에 와이프가 기름이 E (Empty) 에 가깝게 있는데 왜 주유를 안해놨냐고 따지더군요. 와이프가 운전하는 디젤 차의 경우에는 기름이 부족하면 아예 서버리기 때문에 그런데요. 그래서 주유경고
kkwaks.net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비를 올리는 운전 습관
22년형 니로 하이브리드를 신차로 운행한지 벌써 20일 되었고 주행거리로는 900km 가 넘었네요. 첨엔 하이브리드가 잘 나가지도 않을거라는 편견에 그리 좋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전기모터의 토크
kkwaks.net
장마철 대비 자동차 하이브리드 와이퍼 교체하기
주말에 장마철 대비로 자동차 와이퍼를 교체했습니다. 요근래 폭우가 한 번씩 올 때 운전 했었는데 갈 때가 된 거 같더군요. 지난 2월쯤 교체한 것 같은데 아무래도 주차를 지상주차장에 하다보
kkwaks.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