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65 Martin 마틴 D-28 Authentic 오센틱 1941 어쿠스틱 기타 마틴 어센틱 시리즈는 마틴의 복각의 정점의 있는 기타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여러 기타회사들이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기타 모델을 리이슈해서 인기를 끌었었고, 그동안 마틴은 빈티지 시리즈, 골든에라 등등을 통해서 여러가지 시도를 했었습니다. 마틴은 어센틱 시리즈에서는 프리워 시절의 마틴 기타를 그대로 만드는 것을 시도하게 됩니다. 트러스로드가 없는 구조 픽가드를 붙이고 피니쉬하는 등 박물관에 보관된 기타를 토대로 복제하다시피 만들게 되는데요. 다만 벌목 금지인 브라질리언 로즈우드를 대신해서 마다가스카 로즈우드를 사용한 기타가 나오게 됩니다. OM-18 1933, D-28 1937, D-28 1941 등 시리즈등이 있는데, 이 중 특히 D-28 1941은 리어 쉬프트 브레이싱과 43mm 너트폭에 두껍지 않은 넥.. 취미기타 2020. 12. 1. 더보기 ›› 강산에 -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 쉬운 기타 코드 악보 이번 곡은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 입니다. 대학교 다닐때 즐겨 부르던 노래인데, 싱어게인이라는 음악 프로그램에서, 26호 참가자가 자신만의 색깔로 부르는 걸 듣고 악보 정리해봅니다. 악보에 나오는 기타 코드는 아래 코드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초보자를 위한 쉬운 기타 코드 표 초보자를 위한 쉬운 기타 코드 표기타 악보 카테고리에 올리는 쉬운 기타 코드 악보는 초보자들도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코드로 구성된 노래들을 선별하는데요. 매번 포스팅에 코드를 넣기도 그렇고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기타kkwaks.net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 - 강산에 C E 흐르는 강물을 거꾸로 .. 취미기타 2020. 11. 30. 더보기 ›› 마틴 플라스틱 브릿지핀으로 어쿠스틱 기타 브릿지핀 교체 현재 사용 중인 지우드 브라질리언 커스텀 어쿠스틱 기타의 경우 너트/새들/핀의 조합이 상아/상아/본 인데요. 모두 뼈 재질로 사용하다보니 서스테인도 길고 명료한 소리가 나긴 하는데, 끝음이 샤방한게 노래부를 때 좀 거슬릴 때가 있어서 브릿지핀을 교체해봤습니다. 마틴 OM-28 골든에라 기타에 상아/상아/플라스틱 핀 조합이 괜찮았던 기억이 있어서 마틴 플라스틱 브릿지 핀을 구입했습니다. 살짝 아이보리 색상에 검정색 도트가 들어가서 상당히 클래식한 느낌이 나네요. 브릿지핀 7개와 엔드핀 세트입니다. 가격은 18,000원. 마틴 로고는 바닥에 있습니다. 마감 깔끔하네요. 원래 핀은 웨이버리 본핀이 꼽혀 있는데, 핑거스타일에는 참 좋지만 노래부를때는 서스테인이 길고 너무 샤방한 느낌이 있습니다. 상아 .. 취미기타 2020. 11. 30. 더보기 ›› 기타 카포의 명품 엘리엇 하이브리드 카포 통기타 반주를 할 때 키를 바꾸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것이 카포(Capo) 인데요. 그동안 2~3만원 대 카포를 주로 사용했었는데, 지인이 일반 카포 가격의 10배나 되는 카포를 선물해 주었네요. 바로 엘리엇 카포입니다. 간지나는 포장과 휴대용 인조(?) 가죽 케이스. 박스를 열면 스테인리스로 잘 연마되어 만들어진 고급스러운 자태가 보이네요. 명함도 들어 있습니다. 여분의 튜브를 중간에 껴놨네요. 잘 연마된 스테인리스가 우아하게 반짝이네요. 참 심플하게 생겼습니다. 위에 버튼을 눌러서 쉽게 걸로 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튜브는 한동안 사용하면 노랗게 변하던데 교체할 때는 걸쇠를 풀고 교체하면 됩니다. 그럼 카포를 장착해볼까요? 뒤쪽 나사를 여유있게 풀고 걸쇠를 푼 상태에서 카포를 장착.. 취미기타 2020. 11. 24. 더보기 ›› 어쿠스틱 기타 상판 꺼짐 물티슈로 복원하기 겨울철 습도가 낮은 건조한 날씨가 되면 어쿠스틱 기타를 치시는 분들에게는 습도 관리에 비상이 생기게 되는데요. 일렉기타는 나무 토막으로 만들다 보니 습도에 대한 영향이 크진 않지만, 어쿠스틱 기타의 경우에는 바디 부분이 얇은 나무 판을 붙여서 만들어져 있어서 습도에 상당히 민감합니다. 특히 합판 기타가 아닌 원목으로 만들어진 올솔리드 기타의 경우에는 습도가 안 맞았을 때 영향이 더 큽니다. 저의 경우에는 아파트 붙박이장 안에 기타를 보관하고 있는데 겨울에는 45~55% 왔다갔다 해서 체크만 해주고 여름에는 50~60% 정도라서 제습제를 넣어서 관리합니다. 얼마전에 일주일 정도 하드케이스에 넣어 놓은 기타를 꺼내서 확인하는데 스트럼할 때 버징이 나서 봤더니 현고가 2mm 정도에 상판 꺼짐이 생겼더군요. .. 취미기타 2020. 11. 20. 더보기 ›› 겨울철 집안 습도 관리를 위한 미니 온 습도계 구입기 습도가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겨울철 습도 관리가 참 중요한데요. 너무 과습해도 좋지 않기 때문에 현재 습도를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어쿠스틱 기타 같은 악기를 관리해야 한다면 겨울철 습도 관리가 정말 중요합니다. 생활공간의 겨울철 적정습도는 40~50%, 여름철 적정 습도는 50~60% 입니다. 요즘 습도계가 내장되어 있어 자동으로 습도 조절이 되는 가습기 제품이 많긴 하지만, 실제로 측정을 해보면 가습기 주변부 습도를 재고 있는 거라 실제 생활하는 공간의 습도와는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습도계는 가습기와 거리를 두고 실제 생활하는 공간에 두는게 좋습니다. 이번에 구입한 미니 온습도계입니다. 가격은 하나당 만원 정도인데요. 어느정도 정확도를 가지려면 5만원 이상은 주어야 하는데.. 생활정보 2020. 11. 15.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261 다음